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세법

동산물권의 원시취득

by 현애 2023. 1. 20.
반응형

4. 선의취득의 효과

반응형

동산물권의 원시취득

선의취득자는 소유권 또는 질권을 원시취득 한다. 그러나 저당권의 취득에는 적용될 수 없다 [84 다카 2428].[84다카2428].

동산을 선의취득한 자는 권리를 취득하는 반면 종전 소유자는 소유권을 상실하게 되는 법률효과가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발생되고, 그 물건 위에 존재하던 타물권의 부담이 없는 완전한 소유권을 취득하므로 선의취득자가 임의로 선의취득효과를 거부하고 종전소유자에게 동산을 반환받아 갈 것을 요구할 수는 없다 [98다 6800].[98다6800].

선의취득자가 악의의 제삼자에게3 양도하더라도 제삼자는3 소유권을 취득하고, 또 무권리자인 양도인에게 다시 양도하더라도 양도인은 소유권을 취득한다.

반응형

부당이득반환

소유 물건을 에게 매각하여 이 그 물건을 선의취득하면 은 매매로 인하여 취득한 매각대금을 부당이득으로 에게 반환하여야 한다.

 

반응형

5. 도품(盜品), 유실물에 대한 특칙

민법 규정

250(도품, 유실물에 대한 특례) 전조의 경우에 그 동산이 도품이나 유실물인 때에는 피해자 또는 유실자는 도난 또는 유실한 날로부터 2년내에 그 물건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도품이나 유실물이 금전인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반응형

적용범위

금전과 유가증권을 제외한 소품과 유실물인 동산에 한한다. 도품이란 절도강도행위로써 적극적으로 점유자의 의사에 반해 그 점유가 박탈된 물건을 말하고 유실물이란 소극적으로 점유자의 의사에 기하지 않고서 그 점유에서 이탈한 물건을 말한다. 따라서 사기(편취물), 횡령(횡령물), 공갈(갈취물)은 도품이 아니므로 적용되지 않는다.

② 도품, 유실물이란 원권리자로부터 점유를 수탁한 사람이 적극적으로 제삼자에게3 부정 처분한 경우와 같은 위탁물 횡령의 경우는 포함되지 아니하고 또한 점유보조자의 횡령 역시 민법 제250조의 도품⋅유실물에⋅ 해당하지 않는다 [91다 70].[91다70].

반환청구권

도품 및 유실물의 반환청구권자는 피해자 또는 유실자이고 상대방은 도품⋅유실물을⋅ 선의취득한 현재의 점유자 또는 선의취득자를 승계(포괄특정승계인 포함)한 현재의 점유자이다. 반환청구권은 도난당하거나 유실한 날로부터 2년 내에 법률규정에 의해 특별히 인정되는 채권적 청구권이다. 채권적 청구권이므로 소멸시효로 새겨야 할 것이나 제척기간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선의취득자는 선의취득에 의해 확정적으로 소유권을 취득하므로 도품⋅유실물의⋅ 소유권은 선의취득자에게 일단 귀속하고 2년 내에 반환청구를 당하여 반환하면 소유권을 상실하는 수가 있을 뿐이다.

대가의 변상

의의

반응형
251(도품, 유실물에 대한 특례) 양수인이 도품 또는 유실물을 경매나 공개시장에서 또는 동종류의 물건을 판매하는 상인에게서 선의로 매수한 때에는 피해자 또는 유실자는 양수인이 지급한 대가를 변상하고 그 물건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요건공개시장은 널리 점포를 의미하며 상인에는 행상인 등도 포함된다. 251조는 선의만 규정하고 있으나 동조는 제249조와 제250조를 전제로 하는 규정이므로 무과실도 당연한 요건이라고 해석해야 한다 [91다 70].[91다70].

적용범위 : 도품이나 유실물에 대해 제249조 선의취득의 요건이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 소유자는 2년의 기간제한을 받지 않고 소유권에 기해 그 물건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고, 양수인이 경매나 공개시장에서 매수한 때에도 대가를 변상할 필요 없이 그 물건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효과251조는 선의취득자에게 대가변상을 받을 때까지는 물건반환을 거부할 수 있는 항변권만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 선의취득자를 보호하기 위해 반환청구를 받은 선의취득자의 대가변상청구권을 부여한 것이다 [72다 115].[72다115]. 따라서 선의취득자는 반환청구를 받은 때뿐만 아니라 반환청구를 받아 반환을 한 후에도 대가변상을 요구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댓글